별자리를 관찰하는 데는 겨울이 가장 좋은 계절이다. 겨울의 별자리를 찾는 길잡이는 오리온자리의 1등성 리겔에서 만드는, 매우 큰 <겨울의 육각형>과 1등성 베텔게우스에서 만드는 <겨울의 큰삼각형>이다.
★ 겨울의 육각형
오리온자리의 리겔에서 북쪽에 있는 알데바란, 카펠라, 북동쪽에 있는 폴룩스, 동족에 있는 프로키온. 시리우스 등 6개의 1등성을 순서대로 연결하여서 만든 육각형을 겨울의 육각형이라고 한다.
★ 겨울의 큰 삼각형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에서 동쪽에 있는 프로키온, 동남쪽에 있는 시리우스 등 3개의 1등성을 연결하여 만든 삼각형을 겨울의 큰 삼각형이라고 한다.
★ 오리온자리,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오리온자리는 겨울의 육각형의 리겔과 겨울의 큰 삼각형 베텔게우스, 삼형제별을 가진 별자리이다. 큰개자리는 겨울의 큰 삼각형과 겨울의 육각형의 시리우스를 포함한 별자리로, 시리우스는 1등성이다. 작은개자리는 겨울의 큰 삼각형과 겨울의 육각형의 프로키온을 포함한 별자리이다. 오리온자리는 중앙에 비스듬히 있는 별을 <오리온의 삼형제별> 혹은 <오리온의 벨트>라고 부른다.
M42 (오리온 대성운) - 오리온자리 안에 있는 성운. 이 성운은 우주의 먼지와 가스로 되어 있는데, 별이 계속해서 탄생핟고 있다. 삼형제별 아래에 있으며, 쌍안경으로 관찰 할 수 있다.
말머리 성운 - 이 성운은 우주의 먼지덩어리이다. 밝은 산광 성운(IC434)의 빛을 가려서 어둡게 보이는 암흑 성운이다. 작은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NGC 2237 - 38 - 44 - 46 (장미 성운) - 프로키온과 베텔게우스를 연결한 선의 조금 남쪽에 있으며, 장미꽃처럼 보인다. 작은 망원경으로는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 마차부자리, 황소자리

마차부자리와 황소자리는 천장 부근에 있다. 마차부자리는 겨울의 육각형의 카펠라를 포함한 별자리이다. 마차부자리는 비뚤어진 오각형 모양. 황소자리는 겨울의 육각형의 알데바란을 포함한 별자리이다. 황소자리에는 히아데스 성단에서 마차부자리로 뻗은 커다란 V자 형이 있다. 히아데스 성단 (산개 성단) - 황소자리의 황소 얼굴 지점에 V자 형으로 늘어서 있는 성단.
성단에는 속하지 않는 1등성 알데바란이 빨갛게 보인다.
M45 (플레이아데스 산개 성단) - 황소의 어깨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
약 120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나 육안으로는 6개의 별이 보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M1 (게 성운) - 황소의 뿔 근처에 있다.
별이 폭발한 흔적으로 지금도 사방으로 뻗어가고 있는데, 작은 망원경으로 보기 어렵다.

★ 쌍둥이 자리
오리온자리의 북쪽에 보인다.
겨울의 육각형 폴룩스와 2등성 카스토르를 포함한 별자리이다.
폴룩스와 카스토르로부터 별이 두 줄로 있는 듯이 보인다.
|